소장유물검색
게시물 검색

2675 개의 유물이 검색되었습니다.

번호 이미지 유물명 국적/시대 재질 상세보기
25 돌화살촉(磨製石鏃) 한국(韓國)
석(石)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수렵(狩獵) 사냥구(사냥구) 화살촉(화살촉) 군사(軍事) 근력무기(筋力武器) 궁시(弓矢) 촉(鏃)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27 / 000
상세설명 [정의]
돌을 가공하여 만든 화살촉.
[발달과정/역사]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석재로서 혈암(頁岩), 이암(泥岩), 편암(片岩), 판암(坂岩),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고, 길이가 5㎝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도 것도 있다. 돌화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슴베(莖)가 있는가에 따라 우선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形), 삼각형(三角形), 석침형(石針形)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이 돌화살촉은 유경식(有莖式) 석촉(石鏃)으로 촉신(鏃身)의 중앙에는 능(稜)이 있으며 경부(莖部)는 재마연(再磨硏)되어 편평하다. 촉신(鏃身)의 단면은 마름모형(菱形)이고, 경부(莖部)의 단면은 직사각형(長方形)이다.
24 돌화살촉 (磨製石鏃) 한국(韓國)
석(石)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수렵(狩獵) 사냥구(사냥구) 화살촉(화살촉) 군사(軍事) 근력무기(筋力武器) 궁시(弓矢) 촉(鏃)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26 / 000
상세설명 [정의]
돌을 가공하여 만든 화살촉.
[발달과정/역사]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석재로서 혈암(頁岩), 이암(泥岩), 편암(片岩), 판암(坂岩),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고, 길이가 5㎝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도 것도 있다. 돌화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슴베(莖)가 있는가에 따라 우선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形), 삼각형(三角形), 석침형(石針形)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이 돌화살촉은 경부(莖部)가 없는 버들잎형으로 양날개형이다. 촉머리부분은 능(稜)이 있어 마름모형(菱形)이며, 머리부분은 짧고 날개 사이에 앞·뒤로 홈이 파여져 있다. 촉신은 마연(磨硏)하여 편평하며, 단면은 육각형이다. 촉머리부분과 날개부분이 짧다.
23 돌화살촉(磨製石鏃) 한국(韓國)
석(石)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수렵(狩獵) 사냥구(사냥구) 화살촉(화살촉) 군사(軍事) 근력무기(筋力武器) 궁시(弓矢) 촉(鏃)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25 / 000
상세설명 [정의]
돌을 가공하여 만든 화살촉.
[발달과정/역사]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석재로서 혈암(頁岩), 이암(泥岩), 편암(片岩), 판암(坂岩),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고, 길이가 5㎝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도 것도 있다. 돌화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슴베(莖)가 있는가에 따라 우선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形), 삼각형(三角形), 석침형(石針形)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이 돌화살촉은 경부(莖部)가 없는 버들잎형으로 양날개형이다. 촉머리부분은 능(稜)이 있어 마름모형(菱形)이다. 촉신은 마연(磨硏)하여 편평하며, 단면은 육각형이다. 촉머리부분과 날개부분이 짧다.
22 돌화살촉(磨製石鏃) 한국(韓國)
석(石)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수렵(狩獵) 사냥구(사냥구) 화살촉(화살촉) 군사(軍事) 근력무기(筋力武器) 궁시(弓矢) 촉(鏃)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24 / 000
상세설명 [정의]
돌을 가공하여 만든 화살촉.
[발달과정/역사]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석재로서 혈암(頁岩), 이암(泥岩), 편암(片岩), 판암(坂岩),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고, 길이가 5㎝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도 것도 있다. 돌화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슴베(莖)가 있는가에 따라 우선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形), 삼각형(三角形), 석침형(石針形)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이 돌화살촉은 경부(莖部)가 없는 버들잎형으로 양날개형이다. 촉머리부분은 능(稜)이 있어 마름모형(菱形)이다. 촉신은 마연(磨硏)하여 편평하며, 중앙에 지름 0.3㎝ 크기의 구멍을 앞·뒤에서 뚫었다. 단면은 육각형이다.
21 돌화살촉(磨製石鏃) 한국(韓國)
석(石)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수렵(狩獵) 사냥구(사냥구) 화살촉(화살촉) 군사(軍事) 근력무기(筋力武器) 궁시(弓矢) 촉(鏃)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23 / 000
상세설명 [정의]
돌을 가공하여 만든 화살촉.
[발달과정/역사]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석재로서 혈암(頁岩), 이암(泥岩), 편암(片岩), 판암(坂岩),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고, 길이가 5㎝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도 것도 있다. 돌화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슴베(莖)가 있는가에 따라 우선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形), 삼각형(三角形), 석침형(石針形)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이 돌화살촉은 경부(莖部)가 없는 버들잎형으로 양날개형이다. 촉머리부분은 능(稜)이 있어 마름모형(菱形)이며, 약간 마모되었다. 촉신은 마연(磨硏)하여 편평하며, 단면은 육각형이다.
처음  이전  531  532  533  534  535  맨끝
(210-701) 강원 강릉시 범일로 579번길 24(내곡동) 전화 033) 649-7851 팩스 033) 64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