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유물검색
게시물 검색

2675 개의 유물이 검색되었습니다.

번호 이미지 유물명 국적/시대 재질 상세보기
1430 진무원종공신록(振武原從功臣錄)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사회생활(社會生活) 사회제도(社會制度) 문서(文書) 기타(其他)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95 / 000
상세설명 [내용]
이 책은 인조 3년(1625) 진무록훈도감(振武錄勳都監)에서 공신도감자(功臣都鑑字)로 간행한 활자본이다. 인조 3년(1625) 7월 26일 우승지(右承旨) 이무경(李?敬)이 김응천(金應天)의 공적을 기록한 것인데 김응천의 본은 영산(永山)이며, 품성이 순박하며 예를 극진히 하여 여러번 향천(鄕薦)되었다. 선조 36년(1603)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으로 북청판관(北靑判官)을 지냈으며,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으로 인조가 공주로 피할때 호종(扈從)한 공으로 특별히 녹권을 받았다.
1429 고문진보(古文眞寶)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70 / 000
상세설명 [정의]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중국의 시문선집(詩文選集)으로 주(周)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이르는 고시(古詩)·고문(古文)의 주옥편(珠玉編)을 모아 엮은 책이다.
[내용]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자인 황견(黃堅)과 편찬 경위 등에 대하여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송나라 말기에서 원(元)나라 초기에 걸친 시기의 편저임은 확실하다. 1366년 정본(鄭本)의 서(序)에 따르면 당시에 이미 주석도 있었고 오랫동안 세상에 보급되었다고 한다. 전집에는 권학문(勸學文)·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오언고풍장편·칠언단편(七言短篇)·칠언장펀·장단구(長短句)·가(歌)·행(行)·음(吟)·인(引)·곡(曲) 등 10체(體) 217편의 시, 후집에는 사(辭)·부(賦)·설(說)·해(解)·서(序)·기(記)·잠(箴)·명(銘)·문(文)·송(頌)·전(傳)·비(碑)·변(辯)·표(表)·원(原)·논(論)·서(書) 등 17체 67편의 문장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과 편수에는 차이가 나는 여러 간본(刊本)이 있으며, 우리 나라의 최근 활자본으로는 1949년에 나온 덕흥서림본(德興書林本) 등이 있다. 이 책은 6책 1질로 구성된 고문진보로, 사주단변(四周單邊) 반엽(半葉) 10행 17자, 선장(線裝), 활자본, 간행시기는 미상이며 부록으로 첩산선생(疊山先生)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수록되어 있다. 책 주인이 경수(鏡洙)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장(印章)이 찍혀 있으며, 총 6책이나 1책은 소실되어 5책만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 5책이다.
1428 고문진보(古文眞寶)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69 / 000
상세설명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중국의 시문선집(詩文選集)으로 주(周)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이르는 고시(古詩)·고문(古文)의 주옥편(珠玉編)을 모아 엮은 책이다.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자인 황견(黃堅)과 편찬 경위 등에 대하여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송나라 말기에서 원(元)나라 초기에 걸친 시기의 편저임은 확실하다. 1366년 정본(鄭本)의 서(序)에 따르면 당시에 이미 주석도 있었고 오랫동안 세상에 보급되었다고 한다. 전집에는 권학문(勸學文)·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오언고풍장편·칠언단편(七言短篇)·칠언장펀·장단구(長短句)·가(歌)·행(行)·음(吟)·인(引)·곡(曲) 등 10체(體) 217편의 시, 후집에는 사(辭)·부(賦)·설(說)·해(解)·서(序)·기(記)·잠(箴)·명(銘)·문(文)·송(頌)·전(傳)·비(碑)·변(辯)·표(表)·원(原)·논(論)·서(書) 등 17체 67편의 문장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과 편수에는 차이가 나는 여러 간본(刊本)이 있으며, 우리 나라의 최근 활자본으로는 1949년에 나온 덕흥서림본(德興書林本) 등이 있다. 이 책은 6책 1질로 구성된 고문진보로, 사주단변(四周單邊) 반엽(半葉) 10행 17자, 선장(線裝), 활자본, 간행시기는 미상이며 부록으로 첩산선생(疊山先生)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수록되어 있다. 책 주인이 경수(鏡洙)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장(印章)이 찍혀 있으며, 총 6책이나 1책은 소실되어 5책만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 4책이다.
1427 고문진보(古文眞寶)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68 / 000
상세설명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중국의 시문선집(詩文選集)으로 주(周)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이르는 고시(古詩)·고문(古文)의 주옥편(珠玉編)을 모아 엮은 책이다.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자인 황견(黃堅)과 편찬 경위 등에 대하여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송나라 말기에서 원(元)나라 초기에 걸친 시기의 편저임은 확실하다. 1366년 정본(鄭本)의 서(序)에 따르면 당시에 이미 주석도 있었고 오랫동안 세상에 보급되었다고 한다. 전집에는 권학문(勸學文)·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오언고풍장편·칠언단편(七言短篇)·칠언장펀·장단구(長短句)·가(歌)·행(行)·음(吟)·인(引)·곡(曲) 등 10체(體) 217편의 시, 후집에는 사(辭)·부(賦)·설(說)·해(解)·서(序)·기(記)·잠(箴)·명(銘)·문(文)·송(頌)·전(傳)·비(碑)·변(辯)·표(表)·원(原)·논(論)·서(書) 등 17체 67편의 문장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과 편수에는 차이가 나는 여러 간본(刊本)이 있으며, 우리 나라의 최근 활자본으로는 1949년에 나온 덕흥서림본(德興書林本) 등이 있다. 이 책은 6책 1질로 구성된 고문진보로, 사주단변(四周單邊) 반엽(半葉) 10행 17자, 선장(線裝), 활자본, 간행시기는 미상이며 부록으로 첩산선생(疊山先生)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수록되어 있다. 책 주인이 경수(鏡洙)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장(印章)이 찍혀 있으며, 총 6책이나 1책은 소실되어 5책만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 3책이다.
1426 고문진보(古文眞寶)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67 / 000
상세설명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중국의 시문선집(詩文選集)으로 주(周)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이르는 고시(古詩)·고문(古文)의 주옥편(珠玉編)을 모아 엮은 책이다.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자인 황견(黃堅)과 편찬 경위 등에 대하여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송나라 말기에서 원(元)나라 초기에 걸친 시기의 편저임은 확실하다. 1366년 정본(鄭本)의 서(序)에 따르면 당시에 이미 주석도 있었고 오랫동안 세상에 보급되었다고 한다. 전집에는 권학문(勸學文)·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오언고풍장편·칠언단편(七言短篇)·칠언장펀·장단구(長短句)·가(歌)·행(行)·음(吟)·인(引)·곡(曲) 등 10체(體) 217편의 시, 후집에는 사(辭)·부(賦)·설(說)·해(解)·서(序)·기(記)·잠(箴)·명(銘)·문(文)·송(頌)·전(傳)·비(碑)·변(辯)·표(表)·원(原)·논(論)·서(書) 등 17체 67편의 문장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과 편수에는 차이가 나는 여러 간본(刊本)이 있으며, 우리 나라의 최근 활자본으로는 1949년에 나온 덕흥서림본(德興書林本) 등이 있다. 이 책은 6책 1질로 구성된 고문진보로, 사주단변(四周單邊) 반엽(半葉) 10행 17자, 선장(線裝), 활자본, 간행시기는 미상이며 부록으로 첩산선생(疊山先生)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수록되어 있다. 책 주인이 경수(鏡洙)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장(印章)이 찍혀 있으며, 총 6책이나 1책은 소실되어 5책만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 2책이다.
처음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맨끝
(210-701) 강원 강릉시 범일로 579번길 24(내곡동) 전화 033) 649-7851 팩스 033) 64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