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유물검색
게시물 검색

2675 개의 유물이 검색되었습니다.

번호 이미지 유물명 국적/시대 재질 상세보기
1425 고문진보(古文眞寶)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66 / 000
상세설명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중국의 시문선집(詩文選集)으로 주(周)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이르는 고시(古詩)·고문(古文)의 주옥편(珠玉編)을 모아 엮은 책이다.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자인 황견(黃堅)과 편찬 경위 등에 대하여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송나라 말기에서 원(元)나라 초기에 걸친 시기의 편저임은 확실하다. 1366년 정본(鄭本)의 서(序)에 따르면 당시에 이미 주석도 있었고 오랫동안 세상에 보급되었다고 한다. 전집에는 권학문(勸學文)·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오언고풍장편·칠언단편(七言短篇)·칠언장펀·장단구(長短句)·가(歌)·행(行)·음(吟)·인(引)·곡(曲) 등 10체(體) 217편의 시, 후집에는 사(辭)·부(賦)·설(說)·해(解)·서(序)·기(記)·잠(箴)·명(銘)·문(文)·송(頌)·전(傳)·비(碑)·변(辯)·표(表)·원(原)·논(論)·서(書) 등 17체 67편의 문장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과 편수에는 차이가 나는 여러 간본(刊本)이 있으며, 우리 나라의 최근 활자본으로는 1949년에 나온 덕흥서림본(德興書林本) 등이 있다. 이 책은 6책 1질로 구성된 고문진보로, 사주단변(四周單邊) 반엽(半葉) 10행 17자, 선장(線裝), 활자본, 간행시기는 미상이며 부록으로 첩산선생(疊山先生)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수록되어 있다. 책 주인이 경수(鏡洙)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장(印章)이 찍혀 있으며, 총 6책이나 1책은 소실되어 5책만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 1책이다.

1424 동사후집(東?後集 )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61 / 000
상세설명 [내용]
저본(底本)은 광해군 5년(1613) 간행되었으며, 본 소장본은 계사사월(癸巳四月) 심남와(沁南窩)에서 필사된 것이다. 본 서는 원접사(遠接使) 자헌대부의정부우참찬겸동지경연사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성균관사 세자우빈객(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同知經筵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 世子右賓客) 월사(月沙) 이정구(二廷龜), 의주영위사(義州迎尉使)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오봉(五峯) 이호민(李好閔) 등이 선조 34년(1601)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원접사로 파견되면서 그 사행(使行) 사실을 일기 형식의 시로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동사후집(東?後集) 1책이다.
1423 동사집(東?集)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60 / 000
상세설명 [내용]
저본(底本)은 광해군 5년(1613) 간행되었으며, 본 소장본은 계사사월(癸巳四月) 심남와(沁南窩)에서 필사된 것이다. 본 서는 원접사(遠接使) 자헌대부의정부우참찬겸동지경연사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성균관사 세자우빈객(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同知經筵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 世子右賓客) 월사(月沙) 이정구(二廷龜), 의주영위사(義州迎尉使)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오봉(五峯) 이호민(李好閔) 등이 선조 34년(1601)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원접사로 파견되면서 그 사행(使行) 사실을 일기 형식의 시로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곤(坤) 1책이다.
1422 동사집(東?集)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59 / 000
상세설명 [내용]
저본(底本)은 광해군 5년(1613) 간행되었으며, 본 소장본은 계사사월(癸巳四月) 심남와(沁南窩)에서 필사된 것이다. 본 서는 원접사(遠接使) 자헌대부의정부우참찬겸동지경연사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성균관사 세자우빈객(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同知經筵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 世子右賓客) 월사(月沙) 이정구(二廷龜), 의주영위사(義州迎尉使)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오봉(五峯) 이호민(李好閔) 등이 선조 34년(1601)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원접사로 파견되면서 그 사행(使行) 사실을 일기 형식의 시로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건(乾) 1책이다.
1421 중봉문집(重峯文集) 한국(韓國)
지(紙)

용도기능 문화예술(文化藝術) 문헌(文獻) 문집류(文集類) 문집류(文集類)
장르 고미술국학(古美術國學) 고도서(古圖書)
유물번호 003649 / 000
상세설명 [정의]
중봉 조헌(重峯 趙憲 1544~1592)의 문집(文集).
[인물]
조선조 문신, 의병장으로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 후율(後栗), 도원(陶源) 등 이며, 본관은 백천(白川), 응지(應祉)의 아들이며, 이이와 성혼의 문인이다. 명종 22년(156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주교수(定州敎授), 공조좌랑(工曹佐郞), 전라도(全羅道) 도사(都事) 등을 지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묘에 배향되었다.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가장 잘 계승한 문인(門人)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이듬해인 1593년 영규(靈圭) 등 승병과 합세하여 청주를 수복시켰다. 이어 왜군 고바야까와[小旱川隆景]와 대적하기위해 전라도로 향하다 관군의 저지로 의병들은 해산하고 약 700여명의 의병으로 금산전투에 참여하였으나 모두 전사하였다.
[내용]
본 문집은 1934년 동활자로 간행된 중봉 조헌의 문집으로 총 10책 13권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책으로 일기(日記), 제문(祭文), 표(表), 세덕(世德), 장(狀), 연보(年譜), 격(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처음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맨끝
(210-701) 강원 강릉시 범일로 579번길 24(내곡동) 전화 033) 649-7851 팩스 033) 64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