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유물검색
게시물 검색

2675 개의 유물이 검색되었습니다.

번호 이미지 유물명 국적/시대 재질 상세보기
30 돌대패(石鑿) 한국(韓國)
석(石)
점판암(粘板岩)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공업(工業) 목공(木工) 대패(대패)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32 / 000
상세설명 [정의]
나무를 매끄하게 다듬을 때 사용되었던 도구.
[발달과정/역사]
청동기시대의 돌대패는 간돌도끼(磨製石斧)의 한 형식으로 대개 네모꼴(方形)이나 긴네모꼴(長方形)에 가깝게 갈아서 한쪽 끝에 날카로운 날을 내었다. 날은 한쪽으로만 경사지게 하여 대패밥이 나오기 쉽게 되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자연석의 몸돌을 갈아서 만들었으며 나무를 매끈하게 다듬을 때 사용되었던 도구이다. 청동기시대의 돌대패는 간돌도끼(磨製石斧)의 한 형식으로 대개 네모꼴(方形)이나 긴네모꼴(長方形)에 가깝게 갈아서 한쪽 끝에 날카로운 날을 내었다. 날은 한쪽으로만 경사지게 하여 대패밥이 나오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돌대패는 회적색(灰赤色)의 점판암제이다. 전면은 고르게 갈았으나 거의 대부분 표면이 결실되어 매끄럽지 못하다. 형태는 직사각형(長方形)이고 날은 한쪽면만 정교하게 갈았다.
29 돌주걱칼(飯形石刀) 한국(韓國)
석(石)
점판암(粘板岩)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농업(農業) 수확탈곡(收穫脫穀) 기타(其他)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31 / 000
상세설명 [정의]
곡식이나 잡초를 벤다든지 이삭을 자르는데 사용되었던 수확용 도구.
[발달과정/역사]
한국에서 발견되는 선사시대의 낫에는 돌로 만든 것, 멧돼지 이빨이나 짐승의 뼈로 만든 것, 조개껍질로 만든 것 등이 있으며 흑요석으로 만든 작은 날을 끼워서 사용하는 복합식도 있다. 이 가운데 돌낫은 새부리모양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둥글게 휘었으며 안쪽이 날이 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낫(石鎌)과 비슷한 형태로, 돌낫은 새부리모양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둥글게 휘었으며 안쪽에 날이 있는 것과는 달리 날이 휘어진 쪽에 있고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는 자루부분이 있다. 유기물을 자르거나 베는데 사용된 도구로 추정된다. 이 돌주걱칼은 회색의 점판암제로 전면을 고르게 갈아 매끄러우나, 한쪽 날 일부와 손잡이부분은 일부 결실되었다. 전체적으로 손잡이부분이 1/3정도 되며, 무엇인가로 감아서 썼던 것으로 추측된다.
28 돌주걱칼(飯形石刀) 한국(韓國)
석(石)
점판암(粘板岩)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농업(農業) 수확탈곡(收穫脫穀) 기타(其他)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30 / 000
상세설명 [정의]
곡식이나 잡초를 벤다든지 이삭을 자르는데 사용되었던 수확용 도구.
[발달과정/역사]
한국에서 발견되는 선사시대의 낫에는 돌로 만든 것, 멧돼지 이빨이나 짐승의 뼈로 만든 것, 조개껍질로 만든 것 등이 있으며 흑요석으로 만든 작은 날을 끼워서 사용하는 복합식도 있다. 이 가운데 돌낫은 새부리모양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둥글게 휘었으며 안쪽이 날이 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낫(石鎌)과 비슷한 형태로, 돌낫은 새부리모양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둥글게 휘었으며 안쪽에 날이 있는 것과는 달리 날이 휘어진 쪽에 있고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는 자루부분이 있다. 유기물을 자르거나 베는데 사용된 도구로 추정된다. 이 돌주걱칼은 전면이 고르게 마연(磨硏)된 흑색의 돌주걱칼이다. 양날이 있으며, 칼날부분(刀部)와 손잡이부분(握部)에 약간의 굴곡이 있다. 손잡이부분 중앙에 길게 흠집이 있고, 끝부분 양면이 약간 결실되었다.
27 돌주걱칼(飯形石刀) 한국(韓國)
석(石)
점판암(粘板岩)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농업(農業) 수확탈곡(收穫脫穀) 기타(其他)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29 / 000
상세설명 [정의]
곡식이나 잡초를 벤다든지 이삭을 자르는데 사용되었던 수확용 도구.
[발달과정/역사]
한국에서 발견되는 선사시대의 낫에는 돌로 만든 것, 멧돼지 이빨이나 짐승의 뼈로 만든 것, 조개껍질로 만든 것 등이 있으며 흑요석으로 만든 작은 날을 끼워서 사용하는 복합식도 있다. 이 가운데 돌낫은 새부리모양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둥글게 휘었으며 안쪽이 날이 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낫(石鎌)과 비슷한 형태로, 돌낫은 새부리모양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둥글게 휘었으며 안쪽에 날이 있는 것과는 달리 날이 휘어진 쪽에 있고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는 자루부분이 있다. 유기물을 자르거나 베는데 사용된 도구로 추정된다. 이 돌주걱칼은 선단부(先端部)가 결실되었다. 전면을 고르게 갈아 매끄러우나 표면에 긁힌 흔적이 남아 있다. 도부(刀部)의 날은 무뎌져있고 가늘고 검게 그흘린 흔적이 있다.
26 돌화살촉(磨製石鏃) 한국(韓國)
석(石)

용도기능 산업/생업(産業/生業) 수렵(狩獵) 사냥구(사냥구) 화살촉(화살촉) 군사(軍事) 근력무기(筋力武器) 궁시(弓矢) 촉(鏃)
장르 기타(其他) 기타(其他)
유물번호 000028 / 000
상세설명 [정의]
돌을 가공하여 만든 화살촉.
[발달과정/역사]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화살촉(石鏃)이 마연(磨硏)의 수법으로 제작된 예는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볼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다음 초기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석재로서 혈암(頁岩), 이암(泥岩), 편암(片岩), 판암(坂岩),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고, 길이가 5㎝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도 것도 있다. 돌화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슴베(莖)가 있는가에 따라 우선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形), 삼각형(三角形), 석침형(石針形)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이 돌화살촉은 경부(莖部)가 없는 버들잎형이다. 촉머리부분에 능(稜)이 마모되어 희미하게 남아있으며, 머리부분은 약간 결실되었다. 촉신의 끝부분이 약간 마모되었으나 거의 완형이다.
처음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맨끝
(210-701) 강원 강릉시 범일로 579번길 24(내곡동) 전화 033) 649-7851 팩스 033) 641-1010